사회진보연대


사회운동

사회진보연대 계간지


2001.12.21호
첨부파일
-아프간침략사.hwp

아프가니스탄, 1978년 이후

임필수 | 정책부장, 한반도위원회
1. 아프간 문제의 개요

1978년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이 주도한 ‘2월 혁명’과 1979년 10월 소련의 군사개입이 이루어진 후, 미국은 지역 동맹국 파키스탄과 함께 중앙아시아에서 반소전선을 담당할 전사들을 육성한다. 미국과 파키스탄은 2월 혁명으로 축출된 다우드 정권의 인사들이 아니라, 오히려 다우드 정권과 대립 관계에 있었으며 정치적 기반이 취약했던 아프간 내부 이슬람 세력을 저항 세력의 주축으로 선택하였다. 미국-파키스탄의 중앙아시아 전략과 맞아떨어지고, 효과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세력을 택한 것이었다. 미국과 파키스탄은 아프간-파키스탄 접경 지역인 페사와르에 이슬람 학교와 군사훈련 캠프의 건설을 지원하면서, 이슬람 전사를 육성하기 위한 토대를 창출하였다.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파키스탄 군사정보국(ISI, Inter-Service Institute)은 긴밀한 협조관계를 맺었고, 미국의 비밀지원의 창구역할을 했다. 미국이 자신의 모습을 최대한 감추면서 ISI를 간판으로 내세운 것은 이슬람 세력이 치루는 ‘지하드’의 궁극적인 목적이 소련을 붕괴하는 것이라는 점을 은폐하려는 의도 때문이었다.
미국은 반소 저항전쟁을 수행할 7개 단위의 이슬람세력을 창출하였다. 이는 아프간 여러 지역에 퍼져 있는 집단들간의 부족 또는 종족적 차이, 종교적 차이 때문이 아니었고, 오히려 이슬람세력 각각을 분할, 통제하려는 전략적 의도 때문이었다. 미국은 각각의 세력들이 경쟁적인 관계에 놓여, 서로 의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지원에 전적으로 매달리게 만들려고 했다. 달리 말해, 서로간에는 적대적이며 미국에게는 충성하는 분파들로 육성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점차 각 분파들은 전투에서 전과를 얻어 자신의 위치를 확고히 만들고자 무자비한 전술에 의존하거나 심지어 내부의 무장 투쟁에 빠져들었다. 1989년 소련군이 아프간에서 철수한 후, 미국과 파키스탄은 나지불라 정권을 대체하는 임시정부를 구성하려는 계획을 세웠지만, 이슬람 무장세력의 심각한 내분으로 인해 좌절할 수밖에 없었다. 이슬람 무장세력은 각각 준정부 기구급의 체계와 재정, 군대를 갖춘 독립적 조직이었으며, 경쟁관계 속에서 형성된 원한과 상처는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각각의 조직들은 파키스탄, 사우디 아라비아, 이란의 재정 및 군사 지원을 받고 있었고, 아프간 주변국 각각의 이해관계를 대변하여 대립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1990년대 아프간 내전은 실상 국제전의 성격을 띤 것이었다. 이 시기 동안 미국의 태도는 사투 과정에 직접 개입하기보다는, 진행경과를 주시하며 최종 승자가 나타나기를 관망하는 쪽에 가까웠다.
한편 1994년 부상한 탈레반 세력의 기원은 1980년대 반소전쟁의 지도 세력과는 다소 이질적이다. 탈레반은 무자헤딘의 내분과 부패를 바라보며 이슬람국가를 건설할 대체 세력이 되고자 하였다. 탈레반이 1996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자 미국은 합법 정부로 승인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고, 아프간 내전도 마무리될 기미가 완연해졌다. 1998년 클린턴 정부가 케냐와 탄자니아 미국대사관 폭파의 주모자 빈 라덴이 탈레반 정권의 보호를 받고 있다고 발표하면서, 상황은 급반전되었다. 그러나 미국은 2001년 9월 11일 세계무역센터가 붕괴한 후에도 약 2주일 동안 즉각적인 공격을 명령하지 않았고, 이 기간 동안 빈 라덴의 인도 문제를 두고 탈레반과 비밀협상을 벌였다. 이 사실은 미국이 탈레반 정권과 빈 라덴을 분리하여 처리하길 원했다는 점뿐만 아니라, 탈레반이 빈 라덴의 배후가 아니라는 점을 가리킨다. 미국은 그 사건이 사우디-시리아-이라크-팔레스타인 등지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척결하고 중동 내부의 반미 블럭을 형성한다는 목적으로 뭉친 특정 동맹세력이 벌인 행동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동맹세력의 비밀군사조직의 지도자 격인 빈 라덴을 일차적으로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미국은 탈레반 정권을 결국 붕괴시켰고, 비밀리에 또는 공공연하게 미국에 반기를 든 세력 및 국가를 상대로 확전을 모색하고 있다. 이 전쟁 과정에서 아프간은 또다시 민족적․국가적 통합력을 창출할 기회를 잃었고, 과거 내전 당사자들을 주축으로 다시 모인 임시정부의 미래는 불투명하다.

2. 미국 개입의 전사(前史)

1979년, 미국 중앙정보국(CIA) 역사상 가장 거대한 비밀작전으로 꼽히는 아프간 이슬람 세력에 대한 군사지원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1978년 4월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이 다우드 정권을 타도하고자 일으킨 쿠데타에 대한 지지세력의 취약성과 연쇄적인 무장 충돌이 뿌린 세력간의 원한은 미국이 비밀작전을 수립하는데 자양분이 되었다. 먼저 1960~70년대 아프간의 정치 상황을 간략히 살펴보자.

19세기 영국과 러시아가 경쟁적으로 벌인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야 했던 아프간에 1919년 두라니 왕조의 전통을 잇는 새로운 왕국이 수립된다. 역사적으로 아프간 지역을 지배했던 파쉬툰족 중에서 두라니족과 길자이족을 중심으로 구성된 왕국이었다. (이들 모두 선지자 모하메드의 동료들을 기원으로 삼는다.) 1933년에 왕위에 오른 모하메드 자이르 샤는 1964년에 이르러 입헌군주제로의 개혁을 단행한다. 1960~70년대 제3세계 광범위한 지역에서 빈곤하며 무능력한 기존 체제의 변화를 요구하는 다양한 목소리가 커져갈 시점에서 아프간 왕정이 취한 대응이었다. 정치체계를 점진적으로 개혁하는 방안으로 정치정당을 허용하고 상하양원제 의회를 창설한다는 것이 핵심이었다. 자이르 샤 국왕은 헌법 초안을 마련하고 아프가니스탄에 산재한 부족장들을 모아 부족평의회(loya jirga)를 소집하였다. 그러나 당시 국왕이 추진한 개혁은 매우 제한적이었고 왕권을 안정화하는게 중심이었다. 의회는 단지 자문 기구일 뿐이었고, 정당은 선거에 참여할 수 없었다. 또한 파쉬툰인들이 상하원에서 다수 의석을 확보할 수 있게 선거구를 확정하였다. 또한 PDPA와 같이 체제 비판적인 정당을 불법화하였다.

국왕이 주도한 점진적인 개혁에 즈음하여, 아프간 수도의 카불대학교에 운집한 지식인 그룹들도 뚜렷한 정치이념을 내걸며 각각 세력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1965년 맑스-레닌주의를 표방하는 PDPA가 창립되었고, 1966년에는 모택동의 ‘신민주주의’ 노선을 표방하며 이후 중국의 문화대혁명의 세례를 받게 될 ‘진보청년기구’(PYO)가 결성되었다. 1967년 PDPA는 파르참(깃발)과 할크(인민) 두 분파로 분리되었고, 1977년 재결합할 때까지 각자의 길을 걷는다. (두 당파 모두 파쉬툰족이 지배적이었으나, 파르참은 대부분 도시를 기반으로 하며 페르시아어를 사용한 반면 할크는 주로 농촌 출신에 파쉬툰어를 사용하였다. 할크는 파르참에 비해 보다 급진적인 사회 개혁 및 농업 개혁을 옹호했다.) 또한 초기의 PYO는 카불 지역에서 PDPA에 비해 규모가 다소 큰 편이었지만, 투쟁노선을 둘러싼 논쟁을 거쳐, 4월혁명 이후 ‘수정주의’-‘사회제국주의’(소련-아프간공산당정권)와 미국의 지원을 받는 이슬람 무장세력들과의 이중의 전선 속에서 급속히 쇠락하여, 현재에는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그들의 초기 활동에 관한 자료는, 그 후신 조직인 ‘아프가니스탄 해방기구’(ALO)의 영문 홈페이지(www.a-l-o.org)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프가니스탄 PDPA가 감행한 ‘2월혁명’(혹은 군사쿠데타?)의 성격을 어떻게 파악해야 하는가의 문제는 본 글의 주제가 아니다. 아직 필자로서는 아프간의 역사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민족민주혁명’이었는지, 아니면 소련 ‘사회제국주의’의 군사-모험주의적 시도의 발로였는지 냉정히 판단할 정보가 너무 부족하다.
한편 거의 비슷한 시기에 공산주의를 반대하고 무능한 지배엘리트와 서양의 영향력을 강력히 거부하는 이슬람 조직도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1920년대 이집트의 ‘이크완 알 무슬림’(무슬림 형제단) 이후 정형화된 명칭이었던 ‘이크완’(형제)이라고 자칭했던 이들 역시 PDPA와 같이 대부분 카불대학교의 학생, 교원이었다. '자미아티 이슬라미'(이슬람협회)라는 조직이 최초로 결성되었는데, 카불대학의 여러 교수들도 참여하였다. 1960년대 떠오른 맑스주의 세력과 이슬람 세력은 곧 강한 대립양상에 처하는데, 이는 무장충돌로까지 번졌다. 1976~77년 자미아티 이슬라미에서 ‘히즈비 이슬라미‘(이슬람당)가 분리된다. 이를 주도한 굴부딘 헤크마티야르는 1960년대 카불대학교의 공과대학 학생이었다. 당시 그는 머리에 베일을 쓰지 않은 소녀의 얼굴에 산을 뿌린 행동으로 악명을 얻었으며, 1972년에는 PYO의 활동가를 살인한 혐의로 투옥된다. 그는 1973년 다우드가 권력을 장악한 후 석방되어 파키스탄으로 도피하여 파키스탄 군정보국(ISI)과 깊은 연관을 맺는다. 수니파 파쉬툰족을 중심으로 구성된 히즈비 이슬라미는 1980년대 이루어진 CIA와 ISI의 군사지원의 알짜 몫을 챙긴다.

하지만 입헌군주제의 도입이라는 부분적인 정치개혁으로 아프간인의 고달픈 삶이 변화지는 않았다. 1971~72년 식량위기와 경제적 난국은 정치적 불만의 대중적 표출로 드러났다. 농민들 가운데 식량폭동이 일어났고, 노동쟁의와 학생들의 수업거부도 터져 나왔다. 이처럼 대중들의 불만이 점증하는 가운데, 자이르 샤 국왕은 자신의 권력을 위협하는 왕족들을 견제하려는 조치를 구상하였다. 즉 새로운 법을 통해 왕족이 의회나 내각에서 활동하는 것을 금지하고자 했다. 이러한 흐름에 맞서, 국왕의 사촌이자 1953~63년 수상이었던 다우드는 1973년 무혈혁명을 통해 국왕의 축출로 화답했다. 그는 이제 아프간이 군주제가 아닌 공화국이며 자신이 대통령이라고 선포하였다. 이때 다우드가 연합한 세력이 바로 바브락 카말이 이끄는 PDPA의 파르참 세력이었고, 이들은 새로운 공화국 정부의 초기 요직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다우드가 파르참 세력에게 취한 태도는 기회주의적이었다. 그는 일단 권력을 장악하게 되자 파르참 세력과 소련을 멀리하고, 이란의 샤 왕국에 접근하였다. 다우드는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하여 경제원조를 간청하고, 이란을 본딴 비밀경찰의 창설을 계획했다. 또한 이슬람 조직들은 다우드 정부의 압력을 받았고, 최고 지도자들은 파키스탄으로 망명하였다. 다우드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에 가장 민감한 외교분쟁 소재인 ‘파쉬투니스탄‘(Pashtunistan) 즉 파쉬툰 영토 문제를 내걸면서 파키스탄과 갈등을 빚는다. 파쉬툰족은 아프가니스탄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18세기 후반 이후로 아프가니스탄의 전통적인 지배자였으며, 파쉬툰족이 사는 모든 지역은 아프가니스탄 왕의 지배 하에 있었다. 그러나 19세기 파쉬툰 영토의 동부 지역이 영국 지배하의 인도에 합병되었고, 그 후에는 파키스탄의 영토로 남게 되었다. 다우드는 ’민족자결권‘ 또는 ’실지회복‘을 외치면서 이 문제를 자신의 외교정책의 전면에 부각하였고, 따라서 파키스탄과 계속적인 불화를 겪게 된다. 파키스탄 역시 같은 이유로 다우드 반대세력이자 파쉬투니스탄 문제를 고집하지 않는 이슬람 지도자들과 손을 잡는다. 또한 1950년대 후반 소련이 다우드의 파쉬투니스탄 정책을 지지한 것은, 다우드가 소련에 접근한 배경이 되었다.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 문제는 뒤에 다시 언급할 것이다.)

이처럼 아프간의 정치세력간의 갈등이 점증하는 가운데, 1977년 다우드는 부족평의회를 소집하여 일당체계에 기반한 새로운 헌법을 선포하였다. 1978년 4월 PDPA의 파르참과 할크는 재통합하였고, 이른바 ‘2월 혁명’(Saur Revolution, 음력 2월혁명)을 일으킨다. 아프간 인민민주공화국 수립이 선포되었고, 할크의 누르 모하메드 타라키가 대통령 겸 수상을, 파르참의 카말이 부수상을 맡았다. 그러나 군사 쿠데타가 순탄하게 진행되지는 않았고, 소련을 제외하고 내부의 지지세력은 확고하지 않았다. 할크가 권력 상층을 장악한 후, 새로운 정권이 추진한 급진적인 농업개혁(토지개혁)에 반발도 컸다. PDPA는 이전의 지배계급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였고(쿠데타 과정에서 다우드와 그의 일족이 모두 죽었다), 정치가, 종교지도자 뿐만 아니라 학생, 선생을 비롯한 이슬람 지식인을 체포하였고, 쉬아파 하자라족과의 대규모 충돌도 발생했다. 또한 PDPA 내부의 갈등도 계속해서 터져 나왔다. 할크파가 권력의 상층부를 장악하면서 카말과 파르참파의 인사들이 추방되거나 투옥되었다. 할크파 내부의 노선 갈등 속에서, 타라키 대통령이 소련의 묵인 속에서 권력 이인자였던 하피줄라 아민을 제거하려던 계획이 틀어져 오히려 자신이 목숨을 잃는 사건도 발생한다. 아민은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 했으나, 아프간의 무력충돌 과정에서 자체 군사력이 해체되면서 위기에 처한다. 1979년 10월 24일 소련 공수부대가 카불에 진입하였고, 10월 27일 소련의 탱크와 함께 카불로 귀환한 카말은 “혁명의 새로운 단계”를 선포한다. 그리고 같은 날 아민이 암살을 당한다.
소련이 가시적인 군사개입을 감행하면서, 아프간 정권에 저항하는 세력들이 활기를 띠었다. 파키스탄과 미국이 파키스탄 영내의 접경지역인 페사와르에 자리잡은 이슬람 조직 및 이슬람정당에 대한 지원을 점차 확대했기 때문이다. 카터 정권하의 미국이 초기에 행한 지원은 그리 크지 않았으나, 1981년 레이건 정권 이후 급증하였다.

3. 파키스탄과 미국의 비밀공작: 무자헤딘의 형성

소련의 군사개입 이후, 파키스탄과 미국은 이슬람 세력을 저항 세력의 주축으로 선택하였다. 파키스탄과 미국에게 다른 여지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2월 혁명 이후 샤 왕정과 다우드 정권 하에서 활동했던 수많은 고위 정치가, 관료, 군사장교들도 파키스탄으로 도피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에게 합법적 권위를 부여하고 군사지원을 집중할 수도 있었다는 말이다. 그러나 파키스탄과 미국은 자신의 이해관계와 딱 맞아떨어지고 효과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세력을 선택하였다.

▪ 아프간에 대한 파키스탄의 이해관계

1979년 말 아프간 반소․이슬람 세력 및 반체제 보수 성향의 파쉬툰 종족 장로가 이끄는 난민들이 파키스탄 북서접경 페사와르 지역으로 모여들었다. 주로 아프간 동부의 파쉬툰족, 서부의 쉬아파 하자르인이 중심이었다. (그 수는 약 100-200만명으로 추산되었다.) 이 지역이 바로 영국에 의해 강제적으로 설치된 국경인 ‘듀란드 라인’(Durand Line) 주변 지역이었다. 그러면 듀란드 라인 주변 지역의 역사를 잠시 살펴보자.
19세기 영국이 아프가니스탄을 정복하고자 했던 여러 차례의 전쟁 시도가 좌절하자, 영국은 영국령 인도와 아프가니스탄 사이의 국경조약을 체결하려 했다. 물론 아프간인, 즉 파슈툰인과 파크도니스탄인은 어떠한 논의에도 응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영국은 자의적으로 ‘듀란드 라인’(Durand Line)을 그렸는데, 이는 파슈툰 공동체를 인위적으로 양분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식민주의 분할에 대해 러시아-아프간 국경위원회의 영국 대표였던 토마스 홀디취 경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우리가 아프가니스탄이라고 부르는 모호한 공동체에 민족적 통일성을 부여하기 위해 많은 기여를 하였다. 우리는 사방에 국경선을 긋고 아프가니스탄을 영국과 러시아간의 완충국(buffer state)의 위치로 끌어올렸다.”
따라서 아프가니스탄인들은 이를 승인하지 않았고 국경선 철거 운동을 전개했다. 이러한 대중의 저항 때문에, 이 지역은 일종의 준자치구가 되었다. 8개의 파슈툰 민족자치구로서, 중앙정부의 정책 중 도로건설, 복지관련 정책은 받아들이되 경찰 및 세무서의 설치는 거부하는 ‘부족지구’(Tribal Area)였다. 그러나 영국령 인도가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분리될 때, 아프간 국경 지역에서 “부족 대리권”(tribal agency) 문제가 불분명한 상태로 처리되었다. 아프가니스탄은 이 지역민이 파슈툰 민족이라고 선언할 수 있는 권리와 아프가니스탄의 파슈튠인 지역과 통합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파키스탄은 이러한 제안을 강력히 거부했다. 결국 영국은 이 지역민들에게 인도와 파키스탄 중 양자택일할 권리만을 부여했고, 그들은 파키스탄을 선택했다.
그 이후로 파키스탄의 對아프간 외교정책의 일관된 입장은 파슈툰의 통일 이념을 반대하는 세력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물론 파키스탄 대외정책의 핵심적인 이해관계가 걸린 지역은 아프가니스탄과의 서부접경지역이 아니라, 인도와의 동부접경지역이다. 카시미르 지역을 놓고 인도와 적대 관계가 심화될 때, 파키스탄 정부는 서부 국경이 안전하고 카불 정권이 우호적 정권이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 기조에 따라 1978년 2월 혁명 이전부터, 부토 총리 하의 파키스탄은 다우드의 억압을 피해 파키스탄 페사와르로 건너온 헤크마티야르와 꾸준히 접촉하였다. ‘파슈투니스탄‘ 문제를 외교 이슈로 내건 다우드 정권을 견제하기 위해서였다. 1979년 소련이 아프간에 진주하면서 정세가 급변하자, 파키스탄은 이슬람 세력을 본격적으로 육성하려는 야심찬 계획에 착수한다. 이후 파키스탄은 페사와르 지역에 이슬람 학교와 군사훈련 캠프의 건설을 지원하면서, 이슬람 전사를 육성하기 위한 지역 기반을 창출하였다. 이때 미국에서 건너온 무기 및 자금 지원의 창구 역할을 한 조직이 파키스탄 군부의 ‘군사정보국’(ISI, Inter-Service Institute)이었다. 1977년 7월 알 하크 장군이 쿠데타를 일으켜 부토 정권이 붕괴한 이후에도, 파키스탄은 헤크마티야르를 중심으로 이슬람세력을 지원하는 정책을 펼친다.

▪ 미국의 비밀작전

1979년 미국 카터 대통령이 아프가니스탄에서 비밀작전을 개시하라는 비밀지령을 내리면서,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파키스탄 ISI 간의 긴밀한 관계가 수립된다. 애초에 CIA는 무자헤딘이 승리를 거둘 것이라고 믿지 않았고, ISI가 제안한 대규모 지원계획에 반대했다고 한다. 그러나 의회 내의 무자헤딘 지지파들이 레이건 정부에 압력을 가하면서 상황은 급반전하였다. 특히 1985년 레이건 대통령이 국가안보결정 지령 166호에 서명하면서, 비밀 군사원조가 급상승하였다. 각종 언론에 보도된 내용을 종합하면, 회계 연도 1980~1989년 미국의 군사원조 총액은 28억 달러에 달한다. 그리고 국제개발국의 지휘 하에 진행된 1억 5천만 달러 상당의 식량 지원, 국방부 (비살상용) 잉여장비 지원, 수송 지원도 이루어졌다. 또한 미국 이외에도 영국, 사우디아라비아가 미국의 편에서 전쟁지원에 참여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아프간에 이해관계를 두었던 각 국의 지원은 파키스탄 ISI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졌다. 파키스탄 알하크가 이끄는 군부체제는 아프가니스탄 전쟁 시기 동안 미국보다 오히려 더 반소적 성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미국과의 밀월관계에 힘입어 파키스탄 군부체제는 한층 강화되었고, ISI 역시 ‘국가 내부의 국가’로서 막강한 권력을 장악한다. (ISI는 군부, 정보부, 관료, 비밀요원, 정보제공자 등 약 15만명의 인원으로 확대되었다.) 미국은 중앙아시아 지역 전반을 탈안정화하려는 ISI의 계획을 1984년경에야 승인하는데, CIA는 파키스탄보다 더욱 신중한 태도로 임했기 때문이다. 이후 미국과 파키스탄은 여론에는 아프가니스탄과 협상에 임하는 시늉을 보였으나, 실제로는 군사력 투입 확대를 꾀하는데 합의한다.
미국과 파키스탄 정보기구의 고위급 채널은 긴밀한 공조관계에 있었으나, 이슬람 지도자들이 미국 또는 CIA와 직접 접촉을 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CIA 요원 밀튼 비어드맨은 어느 인터뷰에서 "우리가 아랍인들 훈련하지 않았다“고 말했었다. 그리고 빈 라덴도 ”나와 나의 형제들은 미국이 우리를 도왔다는 증거를 전혀 본적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어쩌면 이러한 진술은 사실의 한 측면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왜냐하면, 바로 그것이 미국이 의도한 바였기 때문이다.

▪ 미국의 지원 전략과 무자헤딘의 성장

미국과 파키스탄이 反소련(-反파슈타니스탄) 전선의 주축으로 이슬람세력을 선택한 후,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 그들은 ‘저항전쟁’을 지휘할 ‘합법적’ 권위를 갖는 아프간의 정치적 대표체를 만드는 노력을 의도적으로 방기했다. 대신 저항전쟁을 수행할 7개의 단위를 창출하면서 미국과 파키스탄은 이슬람세력 각각을 분할, 통제하는 방식을 취했다. CIA와 ISI는 헤크마티야르에게 특별 대우를 베풀었지만 대표권을 부여하지는 않았고, 각각을 대체로 동일하게 취급하였다.
이는 아프간 여러 지역에 퍼져 있는 집단들간의 부족 또는 종족적 차이, 종교적 차이 때문이 아니었다. (아프간 근대사에 걸쳐 이들 집단들간의 갈등이 중요한 변수로 떠오른 적은 결코 없었다. 그들간의 무장충돌은 오히려 미국의 군사 개입 이후 발생한 현상이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슬람세력이 조직된 것은 미국과 파키스탄의 전략적 의도 때문이었다. 미국은 각각의 세력들이 경쟁적인 관계에 놓여, 서로 의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지원에 전적으로 매달리게 만들려고 했다. 달리 말해, 서로간에는 적대적이며 미국에게는 충성하는 분파들로 육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미국의 의도는 적중했고, 무자헤딘 내부의 각각 분파들은 더욱 많은 재정 및 군사지원을 얻기 위해 공개적으로 경쟁했다. 이 과정에서 점차 각 분파들은 전투에서 전과를 얻어 자신의 위치를 확고히 만들고자 무자비한 전술에 의존하거나 심지어 내부의 무장 투쟁에 빠져들었다. 당시 형성된 무자헤딘 분파들 중 현재 反탈레반 연합전선으로 이어진 세력은 다음과 같다. ①자미아티 이슬라미(이슬람협회); 1960년대 카불대학교 이슬람 법학 학부의 강사였던 부르하누딘 랍바니와 카불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단체이다. 랍바니가 공식적 지도자이지만 아마드 샤 맛수드가 군사력을 장악하였다. 양자 모두 타지크인(수니파, 페르시아어)이지만, 지역적 기반은 다르다. 맛수드는 이란과 러시아의 지원을 받았다. ②히즈비 와흐다트(이슬람통일당); 하자라 지역의 부족사회로부터 지지를 받은 쉬아파 정당. 8개의 쉬아파 정당이 통합을 통해 형성되었고, 무하마드 카림이 지도자이다. 이란으로부터 지원을 받지만, 당의 통제권을 놓고 이란 당국과 갈등을 빚었다. ③준비시 밀리 이슬라미(이슬람민족운동); 우즈베크인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나지불라 정권 하에서 민병대 역할을 했지만, 지도자 압둘 라쉬드 도드춤은 1992년 나지불라의 정권 이양 프로그램을 가로막고 북부동맹을 형성하는데 기폭제 역할을 한다. ④하라카트 이슬라미(이슬람운동); 아야톨라 무하마드 아시프 무흐시니가 이끄는 쉬아파 정당이며, 히즈비 와하다트와 계속 분리된 상태를 유지했다. 1993~95년 아프간 중부 지역의 통제권을 놓고 히즈비 와흐다트와 전투를 벌인다. ⑤이티하드 이슬라미(이슬람동맹); 압둘 라술 사이야프가 이끄는 정당이며, 사우디 아라비아의 지원을 받았다. 사우디를 매개로 아랍 지역의 전사들이 반소전쟁에 참여하는 통로가 되었다. (일명 와하브 파.)


▪ 무자헤딘 내부 갈등의 심화

소련군의 아프간 진주 이후, ISI는 미국이 제공한 무기의 알짜 몫을 헤크마티야르의 이슬람당에게 제공했다. ISI는 “러시아인을 죽이는데 그들이 최고”라고 치켜세웠지만, 사실 그들은 다른 무자헤딘 분파들에 비해 커다란 군사적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고 한다. 또한 이슬람당은 다른 개인적․종족적․이데올로기적 차이를 갖는 무자헤딘 분파와 잦은 무장 충돌을 빚었다. 일례로, 그들은 1989년 7월 9일 이슬람협회 소속의 군대를 매복, 공격하여 지휘관 5명을 살해하고, 25명의 병사들을 구금, 처형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또한 헤크마티야르의 군대는 테러 전술로도 악명이 높았다. 그들은 페사와르 피난민 캠프에 감옥을 설치하여 사적인 처벌을 자행하였다. (이슬람동맹 역시 마찬가지로 감옥을 설치했다.) 또한 이슬람당은 파키스탄에 있던 아프간 정치인사들을 납치, 암살하였다는 의혹을 샀다. 대표적으로, 아프간인 대부분이 국왕의 복귀를 지지한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던 인사가 살해되는 사건이 일어났는데, 그들이 이를 사주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헤크마티야르는 왕정이 부패와 비이슬람 문화의 잠식에 책임이 있다며, 전 국왕의 복귀를 결사 반대했다.)

▪ 황금 초생달(Golden Triangle) 지역에서의 양귀비 재배의 확대

아프간 내전이 발생하기 전까지 아프간 및 파키스탄에서의 양귀비 재배와 아편생산은 소규모 지역적 수준에 불과했으며, 헤로인 생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CIA의 비밀 작전이 시작된 후, 아프간-파키스탄 국경지역은 세계 최대의 헤로인 생산지역으로 탈바꿈하였다. 미국 수요의 60%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였다. 1979년 당시 파키스탄의 헤로인 중독자는 거의 전무했으나, 1985년에는 120만 명 가량으로 급증하였다. 계속되는 내전 와중에 수백만의 농민 출신 난민이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다른 뾰족한 방안이 없었다는데 그 일차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겠지만 ― 또한 양귀비는 관개용수를 많이 필요로 하지 않아 젊은이가 아니라도 쉽게 재배할 수 있고 척박한 토양에도 잘 자란다고 한다 ― 어쨌든 무자헤딘 게릴라는 아프간 영토의 일부를 장악하여 농민들에게 양귀비 재배를 강요했다. 파키스탄 ISI의 비호 하에서 이슬람 지도자들과 지역의 조직폭력단이 수백 개의 헤로인 제조공장을 운영하였다. 파키스탄 수도에 이슬라마바드에서 미국 마약퇴치국(Drug Enforcement Agency)이 활동을 펼쳤지만, 실제적인 제재를 가할 수는 없었다. 미국의 입장에서는 마약퇴치정책 보다 반소정책이 우선이었기 때문이다. 소련이 아프간에서 철수한 이후, 황금초생달 지역의 마약거래는 만개하였고 前소연방 소속 국가들을 포함하는 마약거래 루트가 조직되었다. (연간 마약거래액은 1000억~2000억 달러에 달하여, 세계 전체 마약거래액의 약 1/3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이슬람 식의 ‘사회정화‘를 외치며 등장했던 탈레반은 1999년경부터 양귀비 재배를 금지하였다. 탈레반 정권의 최고 지도자 오마르 뿐만 아니라 이슬람지도자들도 양귀비 재배는 非이슬람적이라는 종교 포고를 내렸다. 탈레반 정권은 양귀비 재배를 중단하는 농민에게 국제 원조를 통해 보상할 것을 약속했고, 밀과 양파와 같은 작물을 키우게 하였다. 그러나 10년 이상 지속된 가뭄으로 인해 식용작물 재배는 실패했고, 국제 지원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미국은 1996년 초기에는 탈레반 정권에 호의를 보였지만, 1998년 케냐 및 탄자니아 대사관 폭파범으로 빈 라덴을 지목하고 아프간에 미사일 공격을 퍼부은 후 관계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4. 소련 붕괴와 무자헤딘의 내분, 탈레반의 등장

수년간 평화협상을 벌인 결과, 1988년 4월 14일 소련, 미국, 파키스탄은 제네바 평화협정에 서명한다. 협정문은 소련 정규군이 1989년 2월까지 철수한다고 명기하였고, 실제로 1989년 소련군 철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소련은 비공식적인 지원을 계속하였고, 아프간 비밀경찰의 수뇌였던 나지불라는 아프간 정권을 몇 년 더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파키스탄의 ISI도 사우디의 재정지원을 바탕으로 군사 지원을 지속하였다. 이 시기 동안 미국과 파키스탄은 이슬람세력 각각을 통합하여 나지불라 정권을 대체하는 단일 정부를 수립한다는 구상을 세웠다. 즉 이슬람 무장세력 각각의 최고위원회를 규합하여 아프가니스탄 임시정부(Afghan Interim Government, AIG)를 구성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상은 순탄히 진행되지 않았다. 이슬람 무장세력은 각각 준정부 기구급의 체계와 재정, 군대를 갖춘 독립적 조직이었으며, 경쟁관계 속에서 형성된 원한과 상처는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각각의 조직들은 파키스탄, 사우디 아라비아, 이란의 재정 및 군사 지원을 받고 있었고, 아프간 주변국 각각의 이해관계를 대변하여 대립했기 때문이다. (이후에는 러시아도 합세했다.) 그 결과 아프간 임시정부는 아프간 내부로 진격하여 나지불라가 통제하는 주요 도시를 장악하는데 실패한다. 통일적인 군대와 지휘부가 없는 가운데, AIG 소속 세력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전투를 치루었고, 나지불라는 얼마간 정권 유지를 연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나지불라의 퇴진 이후, 오히려 무자헤딘 분파들간의 갈등은 폭발하였고, 아프간 전지역은 심각한 내전 상태로 돌입한다. 하지만 단순한 내전은 아니었는데, 각각의 세력을 지원하는 주변국들의 이해관계가 얽힌 대리전 또는 국제전의 성격도 내재했기 때문이다.

▪ 무자헤딘 분파들간의 내전

나지불라 정권의 생명은 그리 오래 지속될 수 없었다. 소련이 붕괴하자 지원이 중단된 상태에서, 나지불라는 AIG와 대결하는데 필요한 군사력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었다. 결국 1992년 3월 나지불라는 UN 중개 하에 정권을 이양하는 과정에서 물러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이슬람민족운동 계열의 도스툼은 UN과 나지불라의 합의가 이루어지기 2개월 전에 이슬람협회, 이슬람통일당 등과 협상을 벌여 카불로 진격하기로 합의하였다. 미국과 파키스탄이 집중적으로 지지했던 헤크마티야르가 카불을 인수하는 것을 봉쇄하기 위해서였다. 이란의 지원 속에서 이들은 ‘북부동맹’(Nothern Alliance)을 형성하였다. 이들은 아프간인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파쉬툰을 제외한 우즈베크, 타지크, 쉬아파 하자르 등 아프가니스탄 북부 지역에 모여 있는 부족들을 중심으로 결집한 세력이다. 현재 反탈레반 무장세력의 중심이 당시 북부동맹 출신이기 때문에 그냥 북부동맹이라고 부르는데, 정확한 명칭은 아프간해방연합이슬람전선(연합전선)이다.
UN은 나지불라의 안전을 보장하고 과도위원회 구성하기 위해 마지막까지 노력했으나, 도스툼의 군대는 카불공항을 장악해 나지불라의 도피를 막았다. (나지불라는 그후 6년 간 카불 UN사무소에서 보호를 받았다.)
그러나 그들간의 동맹관계는 몇 개월 후 붕괴하였다. 먼저 이슬람동맹(와하브파)의 사이야프와 쉬아파 정당들 사이의 전투가 벌어졌다. 그후 쉬아파 정당들 내부의 전투, 이슬람협회와 통일당의 전투가 잇달았다. 한편 카불의 권력으로부터 배제된 헤크마티야르는 로케트 맹폭격으로 카불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1994년 도스툼은 헤크마티야르와 동맹을 맺고 맛수드와 대항했으며, 1995년 맛수드는 카불 서쪽 하자라 지역에서 통일당과 전투를 벌였다.
1995년까지 카불은 세 번 파괴되었고 최소한 5만 명이 사망하였고, 수십만 명의 카불 시민이 파키스탄으로 몸을 피했다. 이 기간 동안 파벌 또는 군벌(warlord)은 아프가니스탄을 분할하였고, ‘법’과 ‘안전’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심지어 군벌세력은 국제기구의 난민 지원 물품을 약탈했다. 미국은 아프간 지역에 대해 손을 씻었고, 특별한 정책을 수립하지도 않았다. 단지 이슬람세력의 혈투 끝에 정치적 안정성을 확보한 세력을 지지한다는 방침을 드러냈을 뿐이다. (이로 인해 각 세력간의 전투는 더욱 치열한 양상을 보였다.)

▪ 탈레반의 등장

탈레반의 최고 지도자 오마르는 아프간 칸다하르 지역의 마드라사(madrassa, 신학교)의 학자였다. 탈레반의 핵심 그룹 역시 파슈툰족 출신으로, 파키스탄 피난민 캠프에 세워진 마드라사의 학생 출신들이다. (탈레반은 파슈툰 말로 ‘학생’을 뜻한다. ‘데오반드’(Deoband) 운동에 참여하는 법학자들이 파키스탄 접경지역에 차렸던 학교에서 수천 명의 학생들이 수학하였다. 아프간-파키스탄 접경지역에 세워진 학교들은 다알 울름(Dar-al ‘Ulum) 계열이었다. 19세기 중반 인도의 도시 데오반드에서 수니 이슬람의 원리 교육을 강조하는 개혁주의 운동이 출발하였는데, 이들이 세운 이슬람 고등교육기관이 다알 울름이었다. 파키스탄의 데오반드 운동과 관련된 조직은 정치정당인 자미아티 울라마 이슬람(Jamiat-i Ulama-Islam, JUI)이다. 1978년 이후 JUI는 아프간 난민 소년들을 위한 수백개의 마드라사를 세웠다. JUI는 파키스탄 하크 대통령이 사망한 후 변화된 정치지형 속에서, 1993년 총선을 계기로 베나지르 부토의 연립정부에 참여했다.
) 오마르를 중심으로 집결했던 세력은 과거 무자헤딘 세력간의 내전에 휩싸인 아프간의 무정부 상태에 격분했고, 그들이 이슬람국가를 건설하는데 실패했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탈레반은 ‘군벌주의‘(warlordism)의 척결과 ’사회정화‘를 내걸고 아프간 대중의 지지를 모아 나갔다.
1994년 탈레반이 칸다하르 지역의 군벌들을 약화시키는데 성공하자, 파키스탄의 베나지르 부토 총리는 관심을 표명하기 시작했다. 히크마티야르에 맞서 균형추를 맞출 수 있는 협력자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또한 탈레반은 파키스탄 북서부 국경지역의 신학교들과 광범위한 연계를 맺고 있었고, 안전한 상품판매 루트를 원하는 지역 상인 카르텔의 지지를 받게 되었다. 1995년 탈레반이 결정적으로 헤크마티야르를 격퇴하자, 파키스탄은 ISI를 매개로 하여 전적으로 탈레반을 지원했다. (반면 러시와와 이란의 지원은 반 탈레반 세력을 지원하였다.) 탈레반은 1996년 카불을 점령했고, 1998년 중반부는 카불 북부 대부분의 지역을 장악하였다. 탈레반이 군벌세력들과 전투를 벌여나가는 과정에서 PDPA의 할키 분파들, 무자헤딘의 각 당파들에서 축출 당한 자들, 해외의 전사들도 결합하였다. (1997년 오사마 빈 라덴이 탈레반의 보호 하에 들어왔고, 오마르의 신뢰받는 고문이 되었다.)

▪ 탈레반 정권과 미국의 관계

1996년 탈레반이 결정적인 성공을 거뒀지만,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맺은 나라는 파키스탄, 사우디 아라비아, 아랍에미레이트연맹뿐이었다. UN은 여전히 형식적으로만 존재하는 과거 랍비니 정부를 인정했다. 처음에 미국은 탈레반에 대해 신중하지만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미국 외교 관리는 “탈레반은 아마도 사우디와 같이 발전할 것이다. 사우디에도 파이프라인, 왕족, 샤리아 법이 있다. 우리는 그러한 것들과 양립할 수 있다”고 입장을 표명했다.) 한편 1997년 세계은행은 투르크메니스탄의 거대한 천연가스를 수송할 파이프라인이 아프간을 통과하는 것이 러시아를 통과하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이라는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파이프라인 설치를 위한 사업단의 부단장은 “만약 탈레반이 안정성을 유지하고 국제사회에서 적법성을 공인 받으면,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이다”라고 화답했다. 이처럼 1997년까지 미국의 정책은 이란과 러시아의 정치적 영향력에 노출되어 있는 반탈레반연합전선 보다는, 미국의 경쟁자들과 거리를 두며 정치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탈레반 정권과 공존하는 쪽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하였다.
그러나 1998년 케냐, 탄자니아 미국 대사관에 대한 공격에 빈 라덴이 개입했다는 클린턴 정부의 발표 이후, 상황은 크게 변하였다. 미국은 보복조치로 아프가니스탄과 수단에 미사일 공격을 감행했다. (아프가니스탄에는 200발 미사일 공격이 이루어져 34명이 사망했다.) 또한 클린턴 정부는 파이프라인을 아프간 서부의 나라들에 걸쳐 설치하는 방안(아제르바이잔-터키-지중해)에 지지를 표명했다. 또한 1999년 10월 UN 안보이사회 1267호 결의는 빈 라덴을 보호하는 탈레반 정권에게 경제제재를 가했고, 2000년 10월에는 테러지원과 마약재배를 이유로 들어 추가적인 제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부시 정권의 출범 이후, 미국은 탈레반과의 조심스러운 관계 개선을 모색하기도 했다. 2001년 5월 미국 관리가 아프간을 방문하여 양귀비 재배를 제한하려는 탈레반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2개월 후 콜린 파월 국무장관은 4300만 달러의 긴급 지원을 허용하였고, “미국은 아프간에게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할 방안을 검토하겠다”라는 말도 덧붙였다.

5.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 중동전쟁으로의 확전인가?

미국은 2001년 9월 11일 세계무역센터가 붕괴한 후에도 약 2주일 동안 즉각적인 공격을 명령하지 않았다. 이 기간 동안 미국 정부는 빈 라덴의 인도 문제를 두고 탈레반과 비밀협상을 벌였다. 이 사실은 미국이 탈레반 정권과 빈 라덴을 분리하여 처리하길 원했을 뿐만 아니라, 탈레반이 빈 라덴의 배후가 아니라는 점을 가리킨다. 하지만 미국은 탈레반 정권을 결국 붕괴시켰고, 미국에 비밀리에 또는 공공연하게 반기를 든 세력 및 국가를 상대로 확전을 모색하고 있다. 이 전쟁 과정에서 아프간은 또다시 민족적․국가적 통합력을 창출할 기회를 잃었고, 과거 내전 당사자들을 주축으로 다시 모인 임시정부의 미래는 불투명하다.
그렇다면 빈 라덴의 실체는 무엇이며 또다른 배후 세력은 존재하는가? 미국은 이와 관련된 뚜렷한 증거나 정보를 전혀 제공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미국 정부의 시각은 다른 경로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을 따름이다. 다음의 내용은 보수주의 싱크탱크로 유명한 미국기업연구소(American Enterprise Institute)가 10월 29일 발표한 ‘사우디 커넥션’이라는 글에서 개진한 분석의 개요다.

∙ 빈 라덴의 실체에 관한 두가지 의문이 있다. 첫째, 그가 사우디 왕조를 반대했다면 왜 사우디를 한번도 공격하지 않았는가? 둘째, 그가 사우디를 위협했다면 사우디 정부는 왜 탈레반 정권을 승인하고 재정을 지원했는가? 1990년대 중반 사우디의 왕권승계를 둘러싼 투쟁과 시리아와 이라크의 비밀외교가 이 질문을 푸는 열쇠다.
∙ 사우디의 황태자 압달라는 친미 성향의 국왕과 왕족들과 달리 범이슬람주의 또는 범아랍주의 성향이 강했다. 압달라는 사우디아라비아 건국에 기여한 와하브 운동에 깊이 결합하였고, 그 운동은 미군의 사우디 주둔에 매우 적대적이었다. 압달라는 사우디가 요르단 및 터키와 관계 개선을 방해했다. 따라서 왕위계승이 어떻게 결판나느냐에 따라 사우디의 미래가 친서방 쪽으로 또는 친 시리아/이라크 쪽으로 기울 수 있는 중대한 고비였다. 압달라가 잠시 해외에 나가 있는 사이 그의 라이벌이 권력장악을 시도하고, 이때부터 압달라는 시리아 정보국과 깊은 관련을 맺는다.
∙ 1995~96년은 중동질서는 미국에게 매우 유리하게 전개된다. 이스라엘은 요르단 및 터키와 전략적 협력을 시작했고 요르단은 反이라크의 선봉에 선다. 사우디-요르단-이스라엘-터키라는 강력한 친미 블럭이 형성된데 반해, PLO는 붕괴 직전에 처하며, 이란혁명도 미궁에 빠진다. 이 때부터 시리아와 이라크의 관계는 적대에서 반미 동반자로 바뀌고, PLO는 잡다한 테러리스트 조직을 지원하고, 압달라는 시리아 정보국과 관계를 형성한다. 이처럼 사우디(와하브/압달라)-시리아-이라크-PLO 블록이 형성될 수 있는 환경 속에서, 라덴의 네트워크가 발전했다. 사우디의 반체제 세력의 대부분 왕족만을 표적으로 삼지만, 빈 라덴은 미국과 왕족을 분리시켜 간접적으로 파괴하는 방식을 추구했다.
ꋯ 2001년 8월 국왕은 사우디 정보국장 알 파이잘을 해임했다. 알 파이잘은 빈 라덴과 오랜 인연이 있으며, 그가 이끄는 정보국은 압달라를 지지했다. 특히 그는 라덴의 자금 루트를 제공했으며, 그의 형은 ‘자선단체’를 통해 탈레반과 알카에다의 재정을 조달했다. 또한 파이잘의 형은 1998년 이라크의 테레조직과 라덴의 접촉을 매개했다.
ꋯ 권력상층에 진입하지 못한 사우디의 왕족들 중 일부는 라덴의 노선에 매혹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사우디는 미국이 아프간을 넘어 전쟁을 확대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으며, 테러에 대한 수사를 방해하고 있다. 알카에다의 뿌리를 제거하지 못하는 한 테러와의 전쟁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미국의 기업연구소가 내놓은 분석은 객관적 사실을 매우 과장하거나 왜곡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이 정말로 민감하게 생각하는 문제가 무엇인지, 원하는 게 무엇인지를 읽어내는 데에는 참고가 될 수 있다.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이 범아랍주의 이데올로기의 확대나 반미 블록의 형성을 완전히 봉쇄하는데 초점이 맞춰 있다는 점은 이미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미국은 빈 라덴이 사우디아라비아 출신이라는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사우디는 미국의 중동지배의 가장 중요한 안전판이며, 사우디 내부의 세력관계가 미국에게 불리하게 변화한다면 미국은 완전히 새로운 판을 짜야만 한다. 따라서 미국에서 사우디 ‘의혹설’은 앞으로 끊임없이 제기될 것이다. 한편 미국이 사우디에 개입할 때에는 내부 반발을 신중히 고려한다면, 이라크를 비롯한 다른 나라들의 경우에는 매우 적나라한 태도를 보일 듯하다. 이미 세계무역센터 붕괴 사건에 이라크가 관여했다는 증거를 포착했다는 언론 보도도 나오고 있다. 탈레반이 이번 사건의 실질적 배후가 아니라는 사실을 미국이 간접적으로 시인한 만큼, 이라크를 가장 위험스러운 주모자로 지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수순이다. 빈 라덴이 머물렀던 수단-예멘을 비롯해 소말리아, 시리아, 레바논을 거쳐 미국의 전쟁 여로는 결국 이라크를 향할 것이다.

참고자료

佐々木辰夫, 「미제국주의 보복전쟁과 동남아시아」, ꡔ현장에서 미래를ꡕ, 2001.12
Afghanistan Liberation Organization, “Historical Overview of the Marxist Revolutionary Movement in Afghanistan and the Afghanistan Liberation Organization”, http://www.a-l-o.org
David Wurmser, “The Saudi Connection”, http://www.aei.org/oti/oti13528.htm
Jim Teeple, “Taleban Wipes out Afghanistan's Opium Production”, UTC, 8 Apr 2001
Michel Chossudovsky, “Who is Osama Bin Laden?“, http://www.globalresearch.ca
Michel Chossudovsky, "Osamagate", http://www.globalresearch.ca
Nour Ali, “U.S.-UN Conspiracy against the people of Afghanistan”, http://www.afghan-info.com/Research_Articles/Dr_NourAli/NourAli.htm
Patricia Gossman, “Afghanistan in the Balance”, Middle East Report 221, Winter 2001
주제어
평화 국제
태그
FTA 한미 보건의료 괴담 의료비 독립적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