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진보연대


  • 특집
  • 2016/12 제23호

2016년 촛불의 세 가지 특징

  • 김유미 편집실 기획국장
 
이 판의 가장 강력한 변수는 촛불, 즉 정치적으로 각성한 시민들이다. 촛불을 든 주권자들은 이미 호락호락한 존재가 아니다. 집회에 참석한 이들은 머릿수나 채우는 구경꾼이 되기를 거부하고 있으며, 정권 퇴진 굿판에 동원됐다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는 엑스트라 역할에 만족하지 않을 것이다. 조선일보 칼럼에서 강석천은 이를 두고 “오늘의 촛불이 내일의 호랑이다. 한번 숲을 벗어난 호랑이는 쉽게 숲으로 되돌아가지 않는다”고 표현했다. 보수파의 시선에서 그는 “다음 희생자는 다음 대통령이 될 가능성” 때문에 제왕적 대통령제를 중심으로 한 현행 헌법을 바꿔야만 한다고 솔직하게 고백한다.
 
이전의 대중 투쟁과 비교했을 때, 2016년 11월을 뜨겁게 달군 촛불에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 아직 한창 진행 중인 운동의 성격을 무어라고 규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겠지만, 지금까지 드러난 몇 가지 특징을 바탕으로 촛불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고민해 보자.
 

정권퇴진 이상의 근본적 불만들

촛불의 첫 번째 특징은, 대통령 퇴진에 대한 강력한 요구를 중심으로 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불만들이 잠복해 있다는 점이다.민주화 이후의 대부분의 투쟁은 노동법 개악, 이라크 파병, 비정규직, FTA, 광우병 미국소 수입, 세월호 등 특정 사안이 중심이었다. 따라서 투쟁 과정에서 정권 자체를 문제 삼을 수 있는가에 대한 공방이 벌어지거나 참가자들 사이에 ‘이 사안을 정치적 문제로 가져가지 말라’는 강박이 드러나기도 했다. 반면 이번 촛불은 비선실세의 존재라는, 정권의 정당성 자체가 흔들리는 폭로에서 시작되었기에 가장 낮은 수준의 요구가 ‘정권 퇴진’이다.
 
박근혜-최순실에게 분노가 응집되어 있음에도 이것이 두 개인의 문제만은 아니라는 공감대가 존재한다는 것 역시 중요한 측면이다. 대통령이 저지른 일을 몰랐을 리 없는 관료와 여당의 공모, 국정농단의 물주이자 정권이 바뀌어도 공고한 진짜 비선실세 재벌, 정유라를 둘러싼 일련의 사건이 보여주듯 돈과 권력 앞에 닥치고 고개 숙여야 하는 사회시스템, 세월호 참사 이후 뻔뻔하게 왜곡 또는 실종되어버린 진실 등 이번 사태 뒤에 무수한 적폐가 놓여 있음을 모두가 알고 있다. 대통령은 이 모든 부정의와 몰염치의 상징인 것이다.
 
이처럼 체제 전반에 대한 뿌리 깊은 불만이 존재하는데도 촛불집회가 전반적으로 질서정연하고 차분한 양상을 보이는 것에 대한 상반된 의미부여가 존재한다. 집회에서 쓰레기를 줍고, 경찰에게도 적대적이지 않은 참가자들의 모습을 보수언론이 ‘성숙한 시민의식’이라 추켜세우고, 반면 참가자 중 일부는 지금의 촛불집회가 합법과 비폭력이라는 틀에 스스로를 가두고 있다고 비판의 날을 세운다.
 
지금까지의 촛불이 대체로 비폭력·평화시위 양상을 보인 것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을 것이다. 섣부른 폭력 행동이 반격과 고립을 자초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경계, 통계에 의해 국민 다수의 요구로 확인되는 정권 퇴진 구호에 대한 자신감, 투쟁이 정권 퇴진을 넘는다고 했을 때 어디를 향해 무엇을 요구해야 할지의 모호함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촛불의 실천이 어떻게 보다 과격한 행동으로 나아가는지가 아니다. 오히려 촛불이 정권 퇴진 이후 우리 삶과 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느냐가 관건일 것이다. 그러한 요구와 방향에 대한 뜻이 모인다면, 급진적인 행동 양식은 자연히 따라올 수밖에 없다. ‘우리 사회가, 내 삶이 정말 바뀔 수 있을까’, ‘집회가 끝나고 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모든 것이 제 자리로 돌아가 버리는 게 아닐까’ 하는 불안감은 대다수 집회 참가자들이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11월 12일 민중총궐기에서 뽈레뽈레라는 팀이 북을 치며 박근혜 퇴진을 외치고 있다.
 

항쟁의 새로운 주인은?

두 번째 특징은 다양한 성별, 연령, 정치적 스펙트럼, 경제적 조건의 참가자들이 뒤섞여 있어 이들이 항쟁 속에서 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아직까지 모호하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촛불집회에서 가장 눈에 띠는 자기 세력과 메시지를 만든 것은 단연 청소년과 여성들이다.
 
촛불이 100만에 이르기 직전의 토요일인 11월 5일 집회에서 청소년들은 거침없는 발언, 주위를 압도하는 환호성, ‘중고생이 앞장서서 혁명정권 수립하자’는 급진적인 구호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들은 서울 외 지역에서 진행하는 시국촛불집회에서도 주축이 되고 있다. 사실 청소년의 집단적 집회 참여는 2002년 미군 장갑차 여중생 사망 추모 집회, 2008년 미친소 미친교육 반대 집회, 2014년 세월호 추모 집회 등 청소년 당사자들이 관련된 2000년대의 투쟁 현장에서 항상 두드러져 왔다. 현 시국에서도 정유라의 대입 비리, 국정 역사교과서가 청소년들이 크게 분노하는 이슈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번 촛불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우리 중고등학생들은 사실 역사의 주역이었다”, “잠시 내려놓았던 역사의 주역이라는 무거운 짐을 다시 한 번 짊어질 때”라며 당당하게 선언했다. ‘기특하다’는 어른들의 말은 필요 없다며, 청소년이 지금 체제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정치적 주체가 되겠다고 자임한 것이다.
 
촛불에 참여한 여성들의 자기조직화는 집회에서의 ‘여성혐오’ 문제와 깊은 관련이 있다. 대통령, 최순실, 정유라까지 국정농단의 주인공이 사적인 관계로 얽힌 세 여성이라는 조건은 이 사태를 비판할 때 “대통령이 여자라서”, “저잣거리 아녀자”, “웬 아줌마” 등의 여성 비하 발언이 대거 등장하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 2016년은 20~30대 젊은 여성들이 집단적으로 페미니스트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만든 해이기도 했다. 5월 ‘강남역 10번 출구’의 추모행동, 10월 낙태죄 폐지 행동,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던 시점에는 ‘#○○○ 내 성폭력’에 대한 폭로전으로 곳곳에서 세력을 만들고 있던 젊은 페미니스트들은 이번 촛불집회에도 적극적으로 참석하여 집회 내 ‘여성혐오’ 발언에 제동을 걸었다. 이들은 '페미가 당당해야 나라가 산다', '여성혐오와 민주주의는 같이 갈 수 없다'고 외치며, 여성들이 새로운 사회를 만드는 운동 속에 당당한 주체로 함께 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
 
이에 비하면 청년층은 목소리를 모아내는 방식으로 집회에 참여하고 있지는 못하다. 자유발언대에 오르는 20~30대 참가자들은 ‘취준생’, ‘스물아홉 직장인’, ‘서른두 살 청년’, ‘스물한 살 공시생(공무원시험 준비생)’, ‘대학생’, ‘교사’ 등 굉장히 다양한 정체성으로 자신을 설명한다. 그만큼 청년들의 삶의 조건은 다양한 갈래로 나뉘어 있다. 청년 세대 전부가 같은 요구를 가지고 단일한 조직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하지만 ‘헬조선’이라는 말에 담긴 청년들의 자조 섞인 불만과 촛불집회에서 발화되는 ‘이게 나라냐’는 분노의 함성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세심하게 고민할 필요는 있을 것이다. 취업하기 전에는 취업을 준비하느라, 취업하고 나서는 야근과 직장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경제적인 삶의 기반을 마련하느라 허덕이던 청년들의 집회 참석은 그 자체로 중요한 변화다. 청년들에게는 ‘도전정신이 없다’, ‘사회에 관심을 가져라’ 같은 다그침이 아니라 문제라고 느끼는 것을 스스로 설명하고 바꾸는 정치적인 경험이 필요하다.
 

정치적 대안은 미약하나 우리의 원칙을 만들어 가야

마지막 특징은 촛불 참가자들 사이에 대안 세력이나 대안 사회에 대한 합의는 상당히 약하다는 것이다. 우리는 ‘낡은 것은 지나갔으나 새로운 것은 아직 오지 않은’ 시대를 살고 있다. 출구가 보이지 않는 세계적인 경제위기 속에 살고 있다는 점은 2010년대 이전의 정치적 행동과 오늘의 촛불집회의 결정적 차이일 것이다.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하고 요구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은 이유다.
 
게다가 기존의 사회운동·노동운동 세력은 지금과 같은 너른 대중운동이 벌어졌을 때, 그 운동을 주도하기는커녕 함께 호흡하며 성장할 태세나 역량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 진보정당 운동 역시 시작된 이래 가장 분열되어 있으며, 분열 과정에서 겪은 상처와 불신도 깊다. 조기 대선이 치러진다 했을 때 민주·진보 진영의 후보는 풀기 어려운 문제로 떠오를 것이다.
 
당장 어떤 정당이나 후보 중심의 집결이 어렵다면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사람들의 요구를 모으고 신뢰를 쌓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헌장’과 같은 기본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의 원칙부터, 박근혜 정부의 정책 중 반드시 폐기되어야 하는 것과같은 구체적인 요구까지. 우리 사회의 어떤 문제들을 역사의 뒤안길로 보낼 것인지, 새로 만들 사회는 어떤 사회여야 하는지에 관한 우리의 원칙을 만들어나가야 할 때다. ●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향한 우리의 전망, 오늘보다
정기구독
주제어
태그
노동조합 진보정치 공산당 일본 전후 정치와 사회민주주의 드래곤볼 슬램덩크 태평양전쟁 사회당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 전일본노동총동맹 춘투 imf-jc 자민당 렝고 사회민주당 도이 다카코 무라야마 도미이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