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결의 원인 분석에 대한 부분은 평가가 다를 수 있겠지만, 여러 참고할만한 자료들이 제시되어 있어서 올립니다.
이후 유럽통합에 대한 전망을 몇 가지 안으로 나눠서 가능성을 점쳐보고 있기도 한데,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현상유지'안이라고 하네요. 허허..
6월 16-17일에 EU 정상회의가 열리는데(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내일하고 모레겠네요), 이 회의의 결과가 나오면 유럽통합의 전망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번호 | 제목 | 출처 | 날짜 | 조회 |
---|---|---|---|---|
195 | 주5일 근무제 도입 합의에 따른 파급효과 | 현대경제연구원 | 2000.11.20 | 20565 |
194 | 기간산업범대위사업계획안 | 기간산업범대위 | 2000.11.18 | 22424 |
193 | 신자유주의 구조조정과 사회화투쟁 | 송유나 | 2000.11.18 | 20416 |
192 | [자료] 해외매각 현황과 대응방안 | 정종권 | 2000.11.17 | 20551 |
191 |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대안행동 | 조희연 | 2000.11.17 | 20160 |
190 | 미 합참의 합동비젼 2020분석 | 유무봉 | 2000.11.17 | 22196 |
189 | [전략위비판] 반제민주변혁론 주장 문건 | 정종권 | 2000.11.17 | 18762 |
188 | 노동운동발전전략 1016토론회 자료집 | 노운발전전략위 | 2000.11.17 | 19532 |
187 | 켄로치와 홉스봄의 파시즘 관에 대하여 | 빈센트 나바로 | 2000.11.17 | 21002 |
186 | [심포지움] 한국전쟁 50주년 자료집 | 한국역사연구회 | 2000.11.17 | 18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