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논의에 직접 적용되기 보다는, 공공성 개념 자체의 역사성과 계급투쟁적 성격, 다차원성 등에 대한 환기 정도로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여하튼 다음 토론은 주로 송유나 동지의 글을 중심으로 진행하면 될 것 같구요, 전 '김현우'입니다.
번호 | 제목 | 출처 | 날짜 | 조회 |
---|---|---|---|---|
785 | 5차 세계사회포럼 관련 자료 모음 | 세계사회포럼 참가단 | 2005.01.12 | 31177 |
784 | 평화활동가 워크샵 자료 | 참여연대 | 2005.01.10 | 30307 |
783 | 일회용 노동자: 오늘날의 산업예비군 | 프레드 맥도프 | 2005.01.06 | 30659 |
782 | [토니 플랫] 2003 미국의 복지 | 토니 플랫 | 2005.01.06 | 33932 |
781 | 여성위 8차 소식지가 발간되었습니다. | 여성위원회 | 2004.12.29 | 32065 |
780 | [자료집]이주노동자문제의 정책적 대안 | 이주노동자운동후원회 | 2004.12.24 | 33358 |
779 | 대학주변 아르바이트 노동환경 실태조사 결과 | 채의수 | 2004.12.18 | 32483 |
778 | [반전평화운동]미국 대선 관련 글들 | ANSWER 외 | 2004.12.14 | 30710 |
777 | 파병연장동의안에 대한 의견서 | 파병반대국민행동 | 2004.12.03 | 33191 |
776 | 여성위 7차 소식지 | 여성위원회 | 2004.12.02 | 32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