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해설] 코로나 경제위기① 미국 연준, 무엇을 했고 무엇을 할 것인가? 왜 연준이 미국기업 회사채를 사야하는 지경에 이르렀나? 연준의 대응은 왜 중요한가, 또 지금까지 무엇을 했고 앞으로 또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연준의 정책이 함의하는 바는 무엇인가? 연준의 대응이 함의하는 바는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미국의 기업부채라는 잠재적 위험요인이 폭발할 가능성을 말하는 셈이다. 사회진보연대 2020-03-23
후안무치한 민주주의의 파괴자들 더불어시민당 창당에 부쳐 코로나 사태로 한국사회가 전대미문의 위기를 겪고 있는 와중에도 집권세력의 관심은 오로지 총선이다. 더불어민주당은 3월 18일 비례선거용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시민을 위하여’) 합류를 결정했고, 곧바로 일부 의원들의 당적 이동도 준비하기 시작했다. 대체 어쩌다 이 지경이 된 것일까? 사회진보연대 2020-03-23
노동조합, 재난 극복의 제도로 역할 해야 한다. 코로나 사태와 노동조합 코로나 사태는 세 가지 영역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첫째,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이 국민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둘째, 인적 격리와 장소 폐쇄로 인해 경제적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셋째, 코로나 발 경제침체로 다수 노동자의 고용과 소득이 불안정해지고 있다. 세 가지 영역 모두에서 노동조합이 해야 할 역할이 크다. 사회진보연대 2020-03-18
2020년 세계 여성의 날을 돌아보며 고통스러운 현실에 저항하는 여성들의 움직임은 앞으로도 다양한 형태로 분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그 해법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여성이 겪는 수많은 문제들이 우리 시대가 마주하고 있는 다른 문제들-고용불안과 저임금 노동의 확대, 약자에 대한 혐오와 폭력-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늘날 여성들의 운동은 개인과 개인, 집단과 집단 간의 이권 다툼으로 귀결되어서는 안 된다. 끔찍한 폭력의 가해자들을 찾아 강하게 처벌하는 것에 머물러서도 안 된다. 여성의 권리가 무엇인지 밝히고 연대를 통해 공동의 해법을 모색하는 운동, 흔들리고 무너지는 지금의 체제에 맞서는 변혁적 운동으로 나아가야 한다. 사회진보연대 2020-03-13
코로나 패닉에 이은 경제 패닉, 원인과 전망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위협적이라고는 하지만, 현재의 경제 상태는 보건‧방역 문제로만 보이지 않는다. 사스, 메르스, 에볼라 등 2천 년대 발생한 다른 전염병과 비교해 봐도 현재 상태가 분명히 유별나 보인다. 코로나 사태가 세계경제 시스템의 어떤 ‘기저질환’을 증폭시켰다고 봐야 하는 이유다. 경제위기는 보건위기만큼이나 시민들에게 고통을 안겨준다. 바이러스가 건강이 나쁜 사람에게 더 치명적이라면, 경제위기는 소득과 자산이 낮은 계층에게 더 치명적이다. 경제적 측면에서 코로나 사태를 분석해 본다. 사회진보연대 2020-03-13
기어코 비례위성정당을 강행하려는가 민주당이 비례‧위성정당 창당을 사실상 승인했다. 현재까지도 민주당의 비례‧위성정당이 어떤 세력과 인물을 주축으로, 어떤 형태로 세워질지는 유동적이다. 그렇지만 민주당의 후안무치한 정치행태에 대해서는 분명한 비판이 필요하다. 사회진보연대 2020-03-04
추 장관의 사법방해와 자연국가로 타락하는 문 정부 추 장관의 검찰 수사 방해와 기소장 비공개는 명백한 사법방해이며, 목적은 문 정부가 스스로 초래한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감추는 것이다. 문 정부는 권력기관 개혁이란 이름으로 오히려 초지일관 대통령 권력을 강화했다. 저성장 인구감소라는 경제적 위기 앞에서 이런 대통령 권력은 위기를 더욱 증폭시킨다.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것도 물론이다. 시민들은 이제 촛불정부 따위의 미망에서 벗어나 단호하게 문 정부와 민주당을 심판해야 한다. 사회진보연대 2020-02-11
야생동물 사육과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유행은 중국 축산업계의 구조적 변화 과정을 알아야 이해할 수 있다. 야생동물 사육산업의 발달은 바이러스 변이의 빈도를 늘리고 범위를 확장한다. 중국정부는 적절한 생태적, 안전·보건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사회진보연대 2020-02-07
청년세대의 노조 인식, 의미와 시사점 청년들이 노조에 냉소한다. 청년 4명 중 3명은 ‘노조는 사회적 가치보다 조합원의 권익을 지향해야 한다’고 답했다. 우리는 청년세대의 이러한 특징이 그들의 청소년기 경험으로부터 형성되었다고 본다. 청년의 인식을 바꾸려면, 노동조합의 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 사회진보연대 2020-02-05
임금체계 개편, 정부가 아니라 노동조합이 주도해야 정부는 올해 노동 개혁 핵심과제로 호봉제를 직무급제로 바꾸는 임금체계 개편을 제시했다. 정부 대책은 청년 고용 위기와 임금 격차 문제의 핵심을 비켜 나갔다는 점에서 심각한 결함이 있다. 노동조합은 노동자계급의 논리로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사회진보연대 2020-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