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1978년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이 주도한 '2월혁명'과 1979년 10월 소련의 군사개입이 이루어진 후, 미국은 지역 동맹국 파키스탄과 함께 중앙아시아에서 반소전선을 담당할 전사들을 육성한다. 미국과 파키스탄은 2월 혁명으로 축출된 다우드 정권의 인사들이 아니라, 오히려 다우드 정권과 대립 관계에 있었으며 정치적 기반이 취약했던 아프간 내부 이슬람 세력을 저항 세력의 주축으로 선택하였다. 미국-파키스탄의 중앙아시아 전략과 맞아떨어지고, 효과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세력을 택한 것이었다. 미국과 파키스탄은 아프간-파키스탄 접경 지역인 페사와르에 이슬람 학교와 군사훈련 캠프의 건설을 지원하면서, 이슬람 전사를 육성하기 위한 토대을 창출하였다. 미국 중앙정보국(CIA)와 파키스탄 군사정보국(ISI, Inter-Service Institute)은 긴밀한 협조관계를 맺었고, 미국의 비밀지원의 창구역할을 했다. 미국이 자신의 모습을 최대한 감추면서 ISI를 간판으로 내세운 것은 이슬람 세력이 치루는 '지하드'의 궁극적인 목적이 소련을 붕괴하는 것이라는 점을 은폐하려는 의도 때문이었다.
미국은 반소 저항전쟁을 수행할 7개의 단위의 이슬람세력을 창출하였다. 이는 아프간 여러 지역에 퍼져 있는 집단들간의 부족 또는 종족적 차이, 종교적 차이 때문이 아니었고, 오히려 이슬람세력 각각을 분할, 통제하려는 전략적 의도 때문이었다. 미국은 각각의 세력들이 경쟁적인 관계에 놓여, 서로 의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지원에 전적으로 매달리게 만들려고 했다. 달리 말해, 서로간에는 적대적이며 미국에게는 충성하는 분파들로 육성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점차 각 분파들은 전투에서 전과를 얻어 자신의 위치를 확고히 만들고자 무자비한 전술에 의존하거나 심지어 내부의 무장 투쟁에 빠져들었다. 1989년 소련군이 아프간에서 철수한 후, 미국과 파키스탄은 나지불라 정권을 대체하는 임시정부를 구성하려는 계획을 세웠지만, 이슬람 무장세력의 심각한 내분으로 인해 좌절할 수밖에 없었다. 이슬람 무장세력은 각각 준정부기구급의 체계와 재정, 군대를 갖춘 독립적 조직이었으며, 경쟁관계 속에서 형성된 원한과 상처는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각각의 조직들은 파키스탄, 사우디 아라비아, 이란의 재정 및 군사 지원을 받고 있었고, 아프간 주변국 각각의 이해관계를 대변하여 대립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1990년대 아프간 내전은 실상 국제전의 성격을 띤 것이었다. 이 시기 동안 미국의 태도는 사투 과정에 직접 개입하기보다는, 진행경과를 주시하며 최종 승자가 나타나기를 관망하는 쪽에 가까웠다.
한편 1994년 부상한 탈레반 세력의 기원은 1980년대 반소전쟁의 지도 세력과는 다소 이질적이다. 탈레반은 무자헤딘의 내분과 부패를 바라보며 이슬람국가를 건설할 대체 세력이 되고자 하였다. 탈레반이 1996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자 미국은 합법 정부로 승인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고, 아프간 내전도 마무리될 기미가 완연해졌다. 1998년 클린턴정부가 케냐와 탄자니아 미국대사관 폭파의 주모자 빈 라덴이 탈레반 정권의 보호를 받고 있다고 발표하면서, 상황은 급반전하였다. 그러나 미국은 2001년 9월 11일 세계무역센터가 붕괴한 후에도 약 2주일 동안 즉각적인 공격을 명령하지 않았고, 이 기간 동안 빈 라덴의 인도 문제를 두고 탈레반과 비밀협상을 벌였다. 이 사실은 미국이 탈레반 정권과 빈 라덴을 분리하여 처리하길 원했다는 점뿐만 아니라, 탈레반이 빈 라덴의 배후가 아니라는 점을 가리킨다. 미국은 그 사건이 사우디-시리아-이라크-팔레스타인 등지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척결하고 중동 내부의 반미 블럭을 형성한다는 목적으로 뭉친 특정 동맹세력이 벌인 행동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동맹세력의 비밀군사조직의 지도자 격인 빈 라덴을 일차적으로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미국은 탈레반 정권을 결국 붕괴시켰고, 미국에 비밀리에 또는 공공연하게 반기를 든 세력 및 국가를 상대로 확전을 모색하고 있다. 이 전쟁 과정에서 아프간은 또다시 민족적·국가적 통합성을 창출할 기회를 잃었고, 과거 내전 당사자들을 주축으로 다시 모인 임시정부의 미래는 불투명하다.

1978년 이후의 아프가니스탄

임필수 (사회진보연대 정책부장)

1. 아프간 문제의 개요
2. 미국 개입의 전사(前史)
3. 파키스탄과 미국의 비밀공작: 무자헤딘의 형성
아프간에 대한 파키스탄의 이해관계
미국의 비밀작전
미국의 지원 전략과 무자헤딘의 성장
무자헤딘 내부 갈등의 심화
황금초생달(Golden Triangle) 지역에서의 양귀비 재배의 확대
4. 소련 붕괴와 무자헤딘의 내분, 탈레반의 등장
무자헤딘 분파들간의 내전
탈레반의 등장
탈레반 정권과 미국의 관계
5.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 중동전쟁으로의 확전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