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진보연대


세계빈곤철폐의 날(10월 17일) 권리선언
기사인쇄
사회진보연대 

세계빈곤철폐의 날(10월 17일) 권리선언

- 신자유주의 정책의 가속화는 빈곤의 질적 심화와 양적 확대를 가져오고 특히 극심한 빈곤에 내몰린 사람들은 생존의 가파른 절벽에 놓여있다. 빈곤층이 처한 삶의 위기 상황은 더욱더 광범위하고 신자유주의 정책이 가속화하는 과정에서 배제의 벽은 더욱 높아만 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공공 역사에 생존의 둥지를 틀고 있는 노숙인, 노점상 등 빈곤한 사람은 쫓겨나거나 다치거나 죽어가고 있다.
- 공간을 둘러싼 불평등한 구조는 이것을 많이 더 소유한 사람에게는 사회적 권력을 부여하는 반면 소유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사회적 배제와 소외를 경험하게 한다. 가난한 예술가는 작업실이 없어 예술을 포기하고, 높은 주거비 부담을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은 시설과 거리를 유랑한다. 이에 대한 저항으로 2004년 8월 15일 '예술가'들 20여명은 '목동예술인회관'을 점거했고, 오아시스프로젝트는 2005년 동숭동 720프로젝트를 감행했다. 이렇듯 예술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스쾃'이라고 불리는 빈집 점거운동은 '점유'와 '사용' 이라는 방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양극화와 불평등 구조에 균열을 내고 있다.
- 서울역이라는 공간은 노숙인과 노점상에게 중요하게 삶을 이어나가는 공간이다. 줄곤 배제를 경험하고 있는 이들에게 공공역사는 위급한 상황에서 긴급한 의료지원을 받을 수 있는 공간으로, 가난하지만 하루 벌이로 근근히 생존을 이어갈 수 있는 공간이다. 그 공공성을 우리는 되찾고 싶다.
- 노숙인의 인권을 증진하기 위한 공간의 마련이 긴급하게 필요하기 때문이다. 빈곤의 최일선에서의 피해자이자 희생자로 노숙인에게 위기센터는 임시 의료시설, 드롭 인 센터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서울역 공공역사가 점차 사유화 민영화되면서 쫓겨나는 노숙인, 노점상의 생존권을 주장할 것이다. 얼마 전 영등포역사에서 발생한 노숙인 사망사건 등을 통해 집 없는 노숙인의 일상과 생명이 얼마나 위협받고 있는가를 우리는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 기자회견(빈곤철폐의 날을 맞이하는 가난한 자들의 권리선언 중심으로)을 하고, 오전에는 노숙인 인권문제에 관한 워크숍(왜 위기센터가 필요한가), 위기센터 꾸미기, 인권교육프로그램 등을 진행할 것이며, 오후에 바깥에서는 상징적인 노점을 하거나 포장마차 행진을 할 수 있는 그 무엇~ 혹은 24시간 12시간 빈곤에 저항하는 문화행동을 계속 이어나간다. 저녁 6-7시경 문화제로 마무리한다.


■ 세계 빈곤철폐의 날 권리선언
- 오전 11시 서울역광장

■ 빈곤철폐 요구 퍼포먼스
- 오전 10시~ 오후 6시 서울역 광장

■ 세계 빈곤철폐의 날 맞이 문화제 ‘빈곤철폐의 몫소리’
-오후 6시 서울역 광장



[참고] 노숙인 등 사회위기계층을 위한 ‘SOS센터’(가칭) 설치를 국가, 지자체와 철도공사에 제안하고 이에 필요한 장소제공 및 부대시설을 철도공사에 요구한다.

1-1. 가칭 ‘SOS센터’란 공공역사를 거쳐 가는 다양한 사회위기계층과 만취자, 건강악화자, 조치필요자 등과 같이 즉각적인 위기개입이 필요한 대상 계층에 대해 상담, 안내, 예방차원의 조치, 의료적 지원서비스 등, 각 분야의 필요 전문인력이 배치되어 24시간 현장에 밀착된 통합적 지원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곳을 말한다.

1-2. ‘SOS센터’와 관련하여, 특히 최근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노숙인 지원대책을 보면 ①극도로 불안정하고 열악한 주거를 반복하다 생활의 주요 거처로 공공역사를 마지막 선택지로 이용하게 되는 거리노숙인의 수가 현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 ②이들 중 정신질환, 중독성질환(알코올 등), 중증 만성질환, 전염성질환 등 주요 질환자의 경우 즉각적인 위기개입과 24시간 밀착된 지원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결국 지난 1월 22일 서울역에서 발생한 충돌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던 거리 객사를 방치하는 심각한 인권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어 사회복지적 서비스를 위한 상담과 의료적 지원서비스가 통합된 형태로 운영될 수 있는 ‘센터’의 설치와 이를 위한 공간 확보가 필수적인 문제임을 제기하고 있다.

1-3. 따라서 인적자원과 행정적 지원은 국가와 지자체가 협의하더라도 철도공사가 전국 광역단위(서울, 대전, 대구, 부산) 공공역사를 중심으로 가칭 ‘SOS센터’ 설치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한 장소제공 및 부대시설을 지원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즉각적인 도움이 필요한 당사자뿐 만 아니라 공공역사를 이용하는 많은 사람들을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2006년10월12일 12:52:43
추천